저 감동 받았습니다. 오늘 치킨 시킵니다.

애드센스 승인

 

 

반응형
LIST

구글 크롤링이 잘 안될때 직접 ping을 보내어 검색엔진이 인식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Ping-o-Matic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서 검색엔진에 알리는 방법 입니다.

 

Ping 서비스란?

 

Ping 서비스는 블로그나 웹사이트가 새 콘텐츠를 게시했을 때, 검색 엔진이나 웹 디렉토리 같은 서비스에 이를 알리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블로그 콘텐츠가 더 빨리 검색 엔진에 색인화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을 새로 작성하거나 업데이트하면 Ping 서비스를 이용해 검색 엔진에 "새 콘텐츠가 있어요!"라고 신호를 보낼 수 있습니다. 이 신호를 받은 검색 엔진은 콘텐츠를 크롤링하고 색인화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Ping 서비스에는 Google Search Console이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Feedburner (현재 일부 기능만 지원) 블로그의 RSS 피드를 Ping하여 구독자와 검색 엔진에 업데이트 내용을 알리는 방법이 있습니다.(해외 유료 서비스)

 

그리고 Ping-o-Matic 가 있는에요.

Ping-o-Matic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료 Ping 서비스 중 하나로, 여러 검색 엔진과 블로그 디렉토리에 콘텐츠를 알릴 수 있습니다.

 

Ping 서비스 사용 방법:

  1. Ping 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블로그 이름, URL, RSS 피드 주소 등을 입력합니다.
  3. "Ping" 버튼을 눌러 검색 엔진과 디렉토리에 신호를 보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블로그의 콘텐츠가 더 빨리 사용자에게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물론, 검색 엔진은 결국 자동으로 색인을 하지만, Ping 서비스를 사용하면 초기 노출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https://pingomatic.com/

 

Ping-o-Matic!

What is this? Ping-O-Matic is a service to update different search engines that your blog has updated. Learn more... We regularly check downstream services to make sure that they're legit and still work. So while it may appear like we have fewer services,

pingomatic.com

 

반응형
LIST

웹사이트의 트래픽 늘리는 방법 

블로그 운영하면서 수익화 가장 중요한 조회수 늘리는 방법.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건 바로 외부 사이트 유입 입니다.

이게 바로 크롤러가 사이트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요.

티스토리 마냥 내부에서 계속 돌고 돌면 결국엔 우리끼리만 노는거지 절대 수익화 할수 없음 입니다.

백날 사이트맵 제출하고 URL 제출하고 해보세요. 누가 들어오나...;;

 

아무 관심 없다는 겁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사이트의 규모 입니다. 사이트의 규모란건 곧 인구 수인데요.

지구 상에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는 어디죠?

 

바로 인도 입니다.

2위는 중국이구요. 3위가 미국 인데 사실은 미국 트래픽이 가장 유의미한 트래픽 이면서 수익률이 좋게 만들려면 

미국 사이트에서 유입되어야 수익이 직결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아이러니 한데 뭐냐면 미국은 구글 마냥 플랫폼은 엄청 크게 만들고 또 강력한데, 그냥 냅둬 버립니다;;;

이게 뭐냐면 미국 사이트들은 돈 안내면 아무것도 해주지 않아요. 돈 들여서 광고 달고 실제 재주 없으면 불가능하고

진입 장벽이 사실 엄청 높죠. 근데 여기 저기 유튜브 방송하는 사람들 보면서 해보겠다는 분들은 말도 안되 소립입니다.

그들의 말을 듣지 마시고 방법을 생각해봅시다.

 

가장 규모가 큰 플랫폼이 어디죠? 다들 아시겠지만 '구글' 입니다.

하지만 가장 큰 규모이면서 활성화 블로그가 많지 않은 사이트가 구글입니다.....아이러니 하지요.

왠줄 아시나요? 여긴 다 돈내고 해야되거든요. 트래픽 좀 올려볼려고 어디 무료 사이트다 가보면 첫페이지 부터 acount 등록 나옵니다. 사실 미국하고 우리는 금전적인 마인드가 달라요. 

 

그 다음 중국을 알아보자면 인구수야 말할 것도 없지요. 그런데 이 나라는 규제를 합니다. 외부 유입을 막고 있기 때문에

구글에서 중국 사이트는 검색 제외 됩니다. 그래서 중국 사이트에서 트래픽 늘리는 방법은 진짜 쓸데없는 방법이구요.

 

자, 이제 제가 본론을 말씀 드리면 인도 사이트를 노리는 겁니다.

 

바로 QUORA 라는 사이트 인데요. 사용자 수만 따졌을 때는 거의 1등이라 볼수 있죠.

인도의 구글급 사이트라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트래픽을 노리면 됩니다.

 

이 사이트는 질문과 답변으로 사용자들이 주고 받으면서 돌아가는 형식인데요. 우리 사이트 광고하기는 딱 좋죠.

제한사항이 구글보다 매우 헐렁합니다.

 

그래서 질문 달면서 사이트 주소 살짝 넣어도 규제는 커녕 신경도 안쓰는 기분이 드네요.

그런데 문제는 단가가 낮아요. 훌륭한 트래픽은 아니란 얘기죠. 그러나 크롤러가 신경쓰이게 하기 위해서 웹사이트 트래픽을 늘리려면 훌륭한 대안입니다. 

 

https://www.quora.com/

 

Quora

 

www.quora.com

 

 

 

 

반응형
LIST

https://www.ambiera.com/rocketcake/ 사이트 메인화면

코딩 없이 웹사이트 제작 WYSIWYG기반 에디터와 RocketCake 소개

WYSIWYG 기반 에디터란 무엇일까요?

WYSIWYG는 "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의 약자로, 보이는 것이 곧 결과물이라는 뜻입니다. 즉, 편집하는 화면에서 보이는 그대로 웹사이트가 만들어진다는 의미입니다. 마치 워드 프로세서에서 글을 쓰듯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요소들을 배치하고 스타일을 적용하여 코딩 지식 없이도 쉽게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복잡한 HTML, CSS 코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웹사이트 디자인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ocketCake: 모든 코딩이 완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릭 만으로 소스를 넣을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IFRAME, TEXT 박스, FORM 등을 코딩 없이 클릭 만으로 넣을 수 있고 무엇보다 무료입니다.......;;;

RocketCake의 주요 특징:

  • 직관적인 드래그 앤 드롭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원하는 위치로 끌어다 놓기만 하면 웹사이트 레이아웃을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 WYSIWYG 편집: 실제 웹사이트처럼 보이는 화면에서 디자인을 변경하면 즉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템플릿 제공: 다양한 디자인 템플릿을 제공하여 빠르게 웹사이트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디자인 지원: 데스크톱, 태블릿, 모바일 등 다양한 기기에서 최적화된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HTML, CSS, JavaScript 편집 기능: 필요에 따라 코드를 직접 편집하여 디자인을 더욱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 FTP 업로드 기능: 완성된 웹사이트를 FTP를 통해 서버에 직접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다국어 지원: 다양한 언어로 웹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RocketCake 다운로드 방법:

RocketCake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1. 공식 웹사이트 방문: https://www.ambiera.com/rocketcake/
  2. Download 버튼 클릭: 웹사이트 상단의 "Download"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운영체제 선택: 사용하는 운영체제 (Windows, macOS)에 맞는 버전을 선택합니다.
  4. 설치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된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RocketCake를 설치합니다.
 

RocketCake - free Responsive Website Builder Software

free responsive WYSIWYG website editor

www.ambiera.com

 

 

반응형
LIST

구글 블로그에 글을 작성할때 구글 docs로 작성후 ifame으로 소스코드만 넣었습니다. 그러면 가치가 낮은 콘텐츠로 인식될까요?

 

네, Google Docs에서 작성한 글을 Blogger에 iFrame으로 삽입하는 방식은 SEO(검색 엔진 최적화) 관점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iFrame 방식이 문제가 되는 이유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제대로 읽지 못함

  • Google과 같은 검색 엔진은 iFrame 내부의 콘텐츠를 크롤링(검색)하는 데 제한이 있습니다.
  • 즉, 블로그 본문에 직접 텍스트가 있는 것이 아니라, iFrame을 통해 외부 문서를 불러오는 방식이기 때문에 검색 엔진이 해당 내용을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가치가 낮은 콘텐츠" 로 평가될 가능성

  • 검색엔진(특히 Google)은 블로그 내의 원본 콘텐츠를 직접 분석하여 품질을 평가합니다.
  • iFrame으로 삽입된 문서는 블로그 자체의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에, "가치가 낮은 콘텐츠" 또는 "빈약한 콘텐츠"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Google이 사이트 품질을 평가할 때 "유용하고 독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데, iFrame만 포함된 페이지는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치가 별로 없는 콘텐츠
가치가 별로 없는 콘텐츠

 

구글과 같은 검색 엔진은 iframe 내부의 콘테츠를 크롤링하는 데 제한이 있습니다.

단순히 iframe을 통해 외부 문서를 불러오기만 한다면 검색 엔진이 해당 내용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것은 빈 페이지로 인식하고 "가치가 낮은 콘텐츠"로 평가될 가능성이 큽니다.

 

 

  • 검색엔진(특히 Google)은 블로그 내의 원본 콘텐츠를 직접 분석하여 품질을 평가합니다.
  • iFrame으로 삽입된 문서는 블로그 자체의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에, "가치가 낮은 콘텐츠" 또는 "빈약한 콘텐츠"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게사자 콘텐츠가 없는 화면에 Google 게제 광고

 

 

SEO 최적화하면서 Google Docs 내용 활용하는 방법

1. Google Docs 내용을 직접 복사 & Blogger에 붙여넣기

 

Google Docs에서 작성한 글을 서식 없이 Blogger 본문에 직접 복사 & 붙여넣기 하면,

 

 

  • SEO 최적화됨
  •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제대로 인식
  • 가치 있는 콘텐츠로 평가받을 가능성이 높아짐

2. Google Docs를 HTML로 변환 후 삽입

  1. Google Docs에서 파일 > 다운로드 > 웹페이지(.html, 압축됨) 다운로드
  2. .html 파일을 열고 필요한 부분만 복사
  3. Blogger의 HTML 보기 모드에서 붙여넣기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코드 없이 깔끔하게 삽입 가능

3. iFrame 대신 Google Docs 내용을 Markdown 변환 후 삽입

  • "Docs to Markdown" 확장 프로그램 사용하여 Google Docs 문서를 Markdown 형식으로 변환
  • Markdown을 Blogger의 HTML 모드에서 붙여넣기
  • 검색 엔진이 문서를 직접 인식할 수 있음

4. Google Docs를 PDF로 변환 후 Blogger에 직접 업로드

  • PDF 파일로 변환하여 Blogger에 첨부
  • 글 본문에 핵심 내용을 작성한 후 PDF 다운로드 링크 제공
  • 검색 엔진이 본문 내용을 직접 크롤링할 수 있도록 함

 

반응형
LIST

블로그를 운영하며 외부 콘텐츠와의 연동으로 더 많은 트래픽과 정보를 제공하고 싶으시다면 이 포스팅을 봐주세요.

저도 블로그를 운영하기 시작한지는 얼마 안됬지만 제가 컴퓨터에 대해서는 약간은 전문가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블로그스팟을 동시에 운영하면서 피드로 두 개의 사이트를 연동하는 방법입니다.

아울러 피드 연동 전문 사이트인 Feedspot까지 다른 Feed 사이트를 연동 하시면 블로그 조회수트래픽 향상

큰 도움 될꺼라 생각하여 이 글을 작성합니다. 

 

두개의 사이트 또는 3개의 사이트가 연동되어야 하므로 순서대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티스토리 블로그에 RSS URL 주소 파악하기

RSS 피드 설치 방법

 

1. RSS URL을 준비 : 먼저 연동하려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RSS URL을 알아야 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RSS는  

                                 

 https://자신의 블로그 URL/rss 입니다.

 

티스토리는 쉽게 되어 있어서 편합니다.

 

자, 그리고 나서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 들어가 줍니다.

 

좌측 메뉴에서 플러그인을 선택합니다.

 

사이드바에서 플러그인 선택
사이드바에서 플러그인 선택

 

그리고 나서 플러그인 중에 배너출력을 사용 선택합니다.

 

배너출력 플러그인 사용 선택
배너출력 플러그인 사용 선택

 

 

2. 이 상태로 해놓고 나서 블로그스팟으로 넘어 갑니다.

 

왼쪽 사이드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하고 블로그 피드를 전체허용으로 설정합니다.

 

블로그스팟 피드 전체허용
블로그스팟 피드 전체허용

 

그리고 나서 이제 블로그스팟의 RSS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내 블로그의 RSS 주소는 

 

https://[블로그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alt=rss

 

입니다.

 

또는 직접 알아내는 방법은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s://블로그주소/feeds/posts/default?alt=rss 

추가해서 방문해 봅니다.

 

RSS 주소확인
RSS 주소확인

 

그러면 위와 같은 XML 형식의 RSS 피드 내용이 표시되면, 해당 URL이 블로그의 RSS 피드 주소 입니다.

 

일단 블로그스팟까지 RSS 주소를 알아내셨다면 Blogger 관리자 페이지에서 "레이아웃" 으로 이동합니다.

원하는 위치 사이드바 등에 "가젯 추가"를 클릭 합니다.

 

블로그 스팟 피드 가젯 추가
블로그 스팟 피드 가젯 추가

 

"피드" 가젯을 선택합니다.

 

블로그스팟 피드 URL에 티스토리 피드 입력
블로그스팟 피드 URL에 티스토리 피드 입력

 

그러면 자신의 티스토리 블로그 피드 URL을 입력하시고 계속을 클릭 하시면 위에 제목과 아래 속성이 활성화 됩니다.

 

블로그스팟 피드 가젯 활성화
블로그스팟 피드 가젯 활성화

 

그리고 레이아웃 저장 하신 후에 블로그스팟을 확인해 봅니다.

 

구글 블로그스팟 피드적용 완료
구글 블로그스팟 피드적용 완료

 

3. 이제 블로그스팟은 피드가 적용 되었으니 티스토리로 넘어갑니다.

왼쪽 메뉴에서 사이드바를 클릭 합니다.

 

HTML 배너출력 사이드바 선택
HTML 배너출력 사이드바 선택

 

맨처음 설정해둔 기본 모듈에서 HTML 배너출력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나오는 창에다가

 

제목을 입력하고

html 부분에는

 

<iframe src="https://자신의 블로그스팟주소/feeds/posts/default?alt=rss" width="300" height="400" frameborder="0"></iframe>

 

입력합니다.

 

HTML 배너출력에 소스 넣기

 

여기서 iframe 속성에는 자바스크립트 또는 각자의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해 봅시다.

티스토리 피드 적용완료
티스토리 피드 적용완료

 

자, 이제 피드 적용은 완료되었구요. 

추가적으로 Feedspot 같은 RSS 피드를 적용해 주고 여러 피드를 확인 할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이트는 유료이고 비용이 좀 비싸기 때문에 별로 추천하지는 않지만 하고 싶으면 하셔도 좋겠죠.

 

 

이상으로 블로그에 피드 설정하는 방법 포스팅 완료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3.16 - [파이썬 프로그래밍] - 블로그에서 iframe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간단한 프로그램을 제작했습니다.

 

블로그에서 iframe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간단한 프로그램을 제작했습니다.

2025.03.14 - [파이썬 프로그래밍] - 3.파이썬 프로그래밍 Copilot 연동 가능한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기 3.파이썬 프로그래밍 Copilot 연동 가능한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다운로드

suncommq.tistory.com

 

반응형
LIST

여러분 구글에서 URL을 등록하면 몇일 있으면 등록 되는 경우도 있고 안되는 경우도 있지 않습니까?

리디엑션 오류 뭐

리디렉션 오류
 
웹사이트
 
시작되지 않음
 
 
시작되지 않음
 
 
시작되지 않음
 
 
시작되지 않음
 
 
적절한 표준 태그가 포함된 대체 페이지
 
웹사이트
 
찾을 수 없음(404)
 
웹사이트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
 
웹사이트
 
크롤링됨 -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요런식으로 표시 되는 것들 중요한 이유야 다 있겠지만 일단 색인등록이 되었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어서 여러 경로를 통해 드디어 알아냈네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중복된 콘텐츠 입니다.

 

구글 크롤러가 우리가 생각 하는 그 이상 입니다.

우리는 구글에서 그래픽 카드를 검색하고 나서 쿠팡에 들어가면 쿠팡에서 그래픽 카드를 추천합니다.

 

우리가 블로그 포스팅 글 올리면서 본의 안이게 여러글 쓰다보면 비슷한 내용도 들어가고는 합니다만

중요한건 이게 다 중복으로 걸러진다는 거구요. 더 중요한 건 여러 군데 플랫폼에다가 비슷한 글 써도 

내가 쓴 글은 중복으로 걸러낼 능력이 있다는 겁니다. 이 크롤러가요....

구글이 대단하다는 걸 이제야 알았네요. 좀 무섭기도 합니다.

 

위에 나온 리디렉션이다 뭐다 그건 중요치 않아요. 혹시 호스트가 메인 호스트가 아니어도 저런게 나올수 있거든요.

 

무엇보다 중요한건 중복되지 않고, 성심껏 글을 작성해야 인정된다는 것이네요.

우리가 글을 직접 썼는지 복사 떴는지 다 알고 있습니다.

정말 무섭네요. 요즘 그냥 일 나갈까 생각중인데요.

요즘 AI 복사 붙이기 매우 성행하여서 네이버도 조치 한다는데

진심 걱정이네요.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