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항식의 연산: 덧셈·뺄셈·곱셈·나눗셈(나머지) 기초와 시각화

고등 수학 핵심 개념을 한 포스트로 정리합니다. 정리 → 예제 → SVG 수식/그래프 → 코드 예제 순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업 자료나 블로그 게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다항식의 정의와 표기

다항식은 변수 x의 거듭제곱과 계수의 유한합으로 이루어진 식입니다. 일반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P(x) = a n x n + ··· + a 1 x + a 0
  • 차수 가장 높은 지수 n
  • 계수 각 항의 실수(또는 복소수) ak
  • 상수항 a0
  • 동류항 같은 차수의 항

2)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

동류항끼리 계수를 더하거나 빼면 됩니다.

(3x2 + 2x − 5) + (x2 − 7x + 1) = 4x2 − 5x − 4
결과설명
3 + 1 = 4계수 합
x2 − 7 = −5계수 차
상수항−5 + 1 = −4계수 합

3) 다항식의 곱셈

분배법칙(FOIL)과 일반 곱셈

각 항을 서로 곱해 동류항을 정리합니다.

( 2x + 3)( x − 4) = 2x2 − 8x + 3x − 12 = 2x2 − 5x − 12

항등식: 이항정리(선택적으로 소개)

(a + b)2 = a2 + 2ab + b2

4) 다항식의 나눗셈과 나머지

임의의 다항식 P(x)D(x)(단, deg D ≥ 1)에 대해,

P(x) = D(x)Q(x) + R(x), deg R < deg D

장항 나눗셈(롱 디비전) 또는 신속한 조립제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장항 나눗셈

(x³ − 6x² + 11x − 6) ÷ (x − 1)

x − 1 x³ − 6x² + 11x − 6 (x³ − x²) −5x² + 11x −5x (−5x² + 5x) 6x − 6 + 6 (6x − 6) ⇒ 몫 Q(x)=x²−5x+6, 나머지 0

조립제법(인수 x−r)

계수를 내려쓰고 r을 곱해 더합니다. (예: r=1)

1 | 1 −6 11 −6 ↓ 1 −5 6 → 몫: 1, −5, 6 (즉 x²−5x+6), 나머지 0

5) 그래프로 보는 다항식

예: 이차함수 y = x² − 5x − 12

x y

인터랙티브: y = ax² + bx + c

1
-5
-12

정점 , 판별식

6) 연습 문제

  1. 다항식 A(x)=3x²−7x+2, B(x)=−2x²+5x−4. A±B를 구하라.
  2. (2x−1)(x+4)를 전개하라.
  3. P(x)=x³−4x²−x+4x−1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구하라.
  4. y=x³−3x의 그래프의 대칭성을 설명하라.
정답/해설 보기
  1. A+B = (3−2)x²+(−7+5)x+(2−4)= x²−2x−2
    A−B = (3+2)x²+(−7−5)x+(2+4)= 5x²−12x+6
  2. (2x−1)(x+4)= 2x²+8x − x − 4 = 2x²+7x−4
  3. 조립제법(1): 1 | 1 −4 −1 4 → 내려쓰기/곱셈/덧셈 결과: 몫 x²−3x−4, 나머지 0
  4. 홀함수 부분과 대칭성: y=x³−3x는 f(−x)=−f(x)이므로 원점 대칭.

7) 파이썬으로 다항식 계산·그래프 그리기(학습용)

아래 코드는 numpy 없이도 기본 계산이 가능하도록 작성되었습니다. 블로그 독자들이 쉽게 복사할 수 있도록 복사 버튼이 붙어 있습니다.

# 다항식 표현: 계수 리스트 [a_n, ..., a_1, a_0]

def pad_left(v, n):
    return [0]*(n-len(v)) + v

def poly_add(p, q):
    if len(p) < len(q): p = pad_left(p, len(q))
    if len(q) < len(p): q = pad_left(q, len(p))
    return [pi+qi for pi, qi in zip(p, q)]

def poly_sub(p, q):
    if len(p) < len(q): p = pad_left(p, len(q))
    if len(q) < len(p): q = pad_left(q, len(p))
    return [pi-qi for pi, qi in zip(p, q)]

def poly_mul(p, q):
    res = [0]*(len(p)+len(q)-1)
    for i, pi in enumerate(p):
        for j, qj in enumerate(q):
            res[i+j] += pi*qj
    return res

def poly_eval(p, x):
    # Horner
    v = 0
    for a in p:
        v = v*x + a
    return v

# 예시: (2x+3)(x-4)
p = [2, 3]   # 2x + 3
q = [1, -4]  # x - 4
print("곱:", poly_mul(p, q))  # [2, -5, -12] → 2x^2 - 5x - 12

# 간단 그래프(텍스트): -3..3 범위에서 값 평가
for x in range(-3, 4):
    print(x, poly_eval([2, -5, -12], x))
© 교육 포스트 · 다항식의 연산 정리
반응형
LIST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 리듬·코드 학습용 미니 악보

템포 ♪ = 126 조성 D♭ Major (5♭) 박자 4/4

본 자료는 교육 목적의 요약·분석용으로, 원곡의 전체 멜로디를 그대로 전재하지 않습니다. 핵심 진행(4마디)과 연습 과제를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1) 4마디 코드 진행(인트로/벌스 질감)

원곡의 도입부는 B → D♭sus4 → E♭m → G♭가 4/4 한 마디씩 흐르는 팝/신스록 질감입니다. 아래 SVG는 ‘슬래시 리듬(Comping)’으로 표기하여 반주 연습에 활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Db 장조, 4/4, 템포 126. 마디별 코드: B, Db sus4, Ebm, Gb. 𝄞 4 4 B D♭sus4 E♭m G♭ I couldn't wait for you to come... ♪ = 126 * 멜로디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생략하고 슬래시 리듬으로 표기했습니다.
* 코드 표기만 이동합니다.

2) 연습 포인트

  • 악상: 신스 패드 위에 드라이브/딜레이 기타가 2박 슬래시를 채우며, 보컬 프레이즈는 박 내 뒤쪽(앤드)에서 출발합니다.
  • 서스펜션: D♭sus4는 4음을 유지하다 3도로 해결하면 분위기가 자연스럽습니다.
  • 보이싱 팁: B: B–D♯–F♯D♭sus4: D♭–G♭–A♭E♭m: E♭–G♭–B♭G♭: G♭–B♭–D♭
리듬 카운트(4/4): | 1 & 2 & 3 & 4 & | 를 유지하며 2·4박에 악센트를 가볍게 두면 원곡 텐션이 잘 살아납니다.

3) 기타 스트로크/핀거링 예시

다음 예시는 기본형입니다. 필요에 따라 8분음표 딜레이(점 8분 세팅)와 팜뮤트 섞어 보세요.

// Guitar (E-standard)

// 126bpm, 4/4 — two-beat slashes (downstrokes on 1·3, upstrokes on "&")
B : x24442 | Dbsus4 : x46644
Ebm : x68876 | Gb : 244322

Pattern : D - U - D - U - | (repeat)
// Count : 1 & 2 & | 3 & 4 &

4) 간단 피아노 보이싱(루트 위치)

// Piano (LH: root + 5th, RH: triad/sus stack)

B : LH B–F# | RH B–D#–F#
Dbsus4 : LH Db–Ab | RH Db–Gb–Ab
Ebm : LH Eb–Bb | RH Eb–Gb–Bb
Gb : LH Gb–Db | RH Gb–Bb–Db
ⓒ 본 포스트는 교육용 요약입니다. 전체 악보가 필요하면 정식 악보를 구매·이용하세요.
반응형
LIST

https://youtu.be/kOdfHBS4Y-w

 

반응형
LIST

와이지플러스가 운영하는 MIXTAPE에서 실제 발매된 AI음악 

 

BUI 1ST mixtape 발매곡 수록 [playlist]

https://youtu.be/kOdfHBS4Y-w

 

반응형
LIST

https://youtu.be/X2lLrbVWX0k

 

반응형
LIST

저 감동 받았습니다. 오늘 치킨 시킵니다.

애드센스 승인

 

 

반응형
LIST

구글 크롤링이 잘 안될때 직접 ping을 보내어 검색엔진이 인식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Ping-o-Matic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서 검색엔진에 알리는 방법 입니다.

 

Ping 서비스란?

 

Ping 서비스는 블로그나 웹사이트가 새 콘텐츠를 게시했을 때, 검색 엔진이나 웹 디렉토리 같은 서비스에 이를 알리는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블로그 콘텐츠가 더 빨리 검색 엔진에 색인화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글을 새로 작성하거나 업데이트하면 Ping 서비스를 이용해 검색 엔진에 "새 콘텐츠가 있어요!"라고 신호를 보낼 수 있습니다. 이 신호를 받은 검색 엔진은 콘텐츠를 크롤링하고 색인화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Ping 서비스에는 Google Search Console이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Feedburner (현재 일부 기능만 지원) 블로그의 RSS 피드를 Ping하여 구독자와 검색 엔진에 업데이트 내용을 알리는 방법이 있습니다.(해외 유료 서비스)

 

그리고 Ping-o-Matic 가 있는에요.

Ping-o-Matic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료 Ping 서비스 중 하나로, 여러 검색 엔진과 블로그 디렉토리에 콘텐츠를 알릴 수 있습니다.

 

Ping 서비스 사용 방법:

  1. Ping 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블로그 이름, URL, RSS 피드 주소 등을 입력합니다.
  3. "Ping" 버튼을 눌러 검색 엔진과 디렉토리에 신호를 보냅니다.

이 과정을 통해 블로그의 콘텐츠가 더 빨리 사용자에게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물론, 검색 엔진은 결국 자동으로 색인을 하지만, Ping 서비스를 사용하면 초기 노출 속도가 빨라질 수 있습니다.

 

https://pingomatic.com/

 

Ping-o-Matic!

What is this? Ping-O-Matic is a service to update different search engines that your blog has updated. Learn more... We regularly check downstream services to make sure that they're legit and still work. So while it may appear like we have fewer services,

pingomatic.com

 

반응형
LIST

웹사이트의 트래픽 늘리는 방법 

블로그 운영하면서 수익화 가장 중요한 조회수 늘리는 방법.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건 바로 외부 사이트 유입 입니다.

이게 바로 크롤러가 사이트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요.

티스토리 마냥 내부에서 계속 돌고 돌면 결국엔 우리끼리만 노는거지 절대 수익화 할수 없음 입니다.

백날 사이트맵 제출하고 URL 제출하고 해보세요. 누가 들어오나...;;

 

아무 관심 없다는 겁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사이트의 규모 입니다. 사이트의 규모란건 곧 인구 수인데요.

지구 상에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는 어디죠?

 

바로 인도 입니다.

2위는 중국이구요. 3위가 미국 인데 사실은 미국 트래픽이 가장 유의미한 트래픽 이면서 수익률이 좋게 만들려면 

미국 사이트에서 유입되어야 수익이 직결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아이러니 한데 뭐냐면 미국은 구글 마냥 플랫폼은 엄청 크게 만들고 또 강력한데, 그냥 냅둬 버립니다;;;

이게 뭐냐면 미국 사이트들은 돈 안내면 아무것도 해주지 않아요. 돈 들여서 광고 달고 실제 재주 없으면 불가능하고

진입 장벽이 사실 엄청 높죠. 근데 여기 저기 유튜브 방송하는 사람들 보면서 해보겠다는 분들은 말도 안되 소립입니다.

그들의 말을 듣지 마시고 방법을 생각해봅시다.

 

가장 규모가 큰 플랫폼이 어디죠? 다들 아시겠지만 '구글' 입니다.

하지만 가장 큰 규모이면서 활성화 블로그가 많지 않은 사이트가 구글입니다.....아이러니 하지요.

왠줄 아시나요? 여긴 다 돈내고 해야되거든요. 트래픽 좀 올려볼려고 어디 무료 사이트다 가보면 첫페이지 부터 acount 등록 나옵니다. 사실 미국하고 우리는 금전적인 마인드가 달라요. 

 

그 다음 중국을 알아보자면 인구수야 말할 것도 없지요. 그런데 이 나라는 규제를 합니다. 외부 유입을 막고 있기 때문에

구글에서 중국 사이트는 검색 제외 됩니다. 그래서 중국 사이트에서 트래픽 늘리는 방법은 진짜 쓸데없는 방법이구요.

 

자, 이제 제가 본론을 말씀 드리면 인도 사이트를 노리는 겁니다.

 

바로 QUORA 라는 사이트 인데요. 사용자 수만 따졌을 때는 거의 1등이라 볼수 있죠.

인도의 구글급 사이트라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트래픽을 노리면 됩니다.

 

이 사이트는 질문과 답변으로 사용자들이 주고 받으면서 돌아가는 형식인데요. 우리 사이트 광고하기는 딱 좋죠.

제한사항이 구글보다 매우 헐렁합니다.

 

그래서 질문 달면서 사이트 주소 살짝 넣어도 규제는 커녕 신경도 안쓰는 기분이 드네요.

그런데 문제는 단가가 낮아요. 훌륭한 트래픽은 아니란 얘기죠. 그러나 크롤러가 신경쓰이게 하기 위해서 웹사이트 트래픽을 늘리려면 훌륭한 대안입니다. 

 

https://www.quora.com/

 

Quora

 

www.quora.com

 

 

 

 

반응형
LIST

+ Recent posts